[Vol.11 No.1] [특허청] IoT 플랫폼, 초연결∙디지털 사회 앞당긴다.
작성자
관리자작성일자
2021-03-12 00:00조회수
585
IoT 플랫폼, 초연결∙디지털 사회 앞당긴다.
- IoT 플랫폼 기술 특허 출원 동향 -
특허청 사물인터넷심사과 박성호 서기관
042-481-8200, eseichpark@korea.kr
최근 아마존, 구글, 애플 등 글로벌 IT 기업들이 자율주행차와 스마트홈 분야에서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상호 협력과 각축을 벌이는 가운데, 스마트폰 등을 통해 자동차, 가전제품과 같은 주변 사물을 연결하여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IoT 플랫폼* 기술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.
* IoT 플랫폼은 명확히 하나로 정의하기가 어려운 다양성이 있기는 하나 그 속성을 고려하면, 각종 센서와 단말기 등을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운영하는데 필요한 ‘비종속성의 공통 기능을 지원하는 기술’이라고 할 것이다(붙임 1 참조).
IoT 플랫폼은 초기 연구단계를 지나 급성장하고 있는 분야로서, 대규모 산업 데이터를 확보함에 유리하고, 시장의 선점효과가 커서 한번 주도권을 잡으면 관련 산업까지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, 향후 국내 통신, 가전, 자동차 기업들과 글로벌 IT 기업들 간의 치열한 주도권 싸움이 예상된다.
특허청(청장 김용래)에 따르면, IoT 플랫폼 관련 국내 출원이 ‘13년 20건에서 ’20년에 115건으로 최근 7년간(‘13~’20년) 6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(붙임 2 참조).
IoT 플랫폼의 유형별 동향을 보면, 전반적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하는 통합관리 플랫폼은 213건(46%), 컴퓨터 서버나 클라우드에서 데이터를 분석∙처리하는 플랫폼은 183건(40%), 장치 간의 통신을 관리하는 플랫폼은 50건(11%), 엣지 단말 장치를 관리하는 플랫폼은 12건(3%) 순으로,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개발을 지원하는 분야가 대다수를 차지한다(붙임 2 참조).
사례: oneM2M, OCF, SKT/KT/LG U+ 통합관리플랫폼 등, 사례: Amazon AWS, Google Cloud, MS Azure 등, 사례: Cisco, SKT/KT/LG U+ M2M 등, 사례: Amazon AWS IoT, Google Cloud IoT, MS Azure IoT Edge, EdgeX 등
서비스 산업별로 보면, 헬스케어 34건(7%), 방재∙방역 31건(7%), 에너지 28건(6%), 수송∙교통 26건(6%), 스마트홈 22건(5%), 기타 273건(60%) 순으로, 특정 분야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(붙임 3 참조).
출원인별로 보면, 기업이 286건(63%)으로, 대학 산학협력단 64건(14%), 연구기관 47건(10%), 개인 61건(13%)을 합친 것보다 많아서, R&D 과정을 지나 본격적인 사업화 단계임을 보여준다(붙임 4 참조).
사물간 통신방식을 보면, Wi-Fi 38건(23%), 블루투스 35건(21%), LoRaWAN* 22건(13%), 지그비 19건(11%), 이더넷 18건(11%), 4G/5G 이동통신 14건(8%) 순으로, WiFi가 여전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지만, IoT 특성을 고려하여 배터리 소모가 적고(지그비, 블루투스, LoRaWAN), 전송속도가 느린(지그비, LoRaWAN) 통신방식의 사용도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(붙임 5 참조).
특히, IoT 플랫폼은 인공지능, 빅데이터, 머신러닝, 딥러닝, 가상현실 등 신기술과 융합되고 있으며, 블록체인 등으로 데이터 보안을 향상시키는 것과 관련된 출원도 증가하고 있다(붙임 6 참조).
특허청 사물인터넷심사과 전기억 과장은, “IoT 플랫폼 기술 분야는 인공지능, 빅데이터 등 다른 4차 혁명 관련 산업과의 융∙복합과, 새롭고 다양한 기능의 센서 기술과의 결합을 통하여 새로운 서비스 영역을 모색∙확대해 나가는 추세라고 할 것이고,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IoT 플랫폼 시장을 놓고 국제적인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우리 기업의 대비와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한 R&D 및 강한 특허 확보 전략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때라고 할 것이다.”고 강조했다.
[붙임 1] | IoT 시스템의 IoT 플랫폼 유형 개요 |
< 참고 > * 본 보도자료의 특허출원 동향분석은 사물인터넷 기술의 특허출원 건 중 발명의 명칭, 초록, 청구범위에 ‘플랫폼’ 표현이 있는 IoT 플랫폼 기술의 출원 458건(미공개건 포함)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임 ** IoT 플랫폼 유형 구분(시장조사기관 IoT Analytics 분류 개념 참고) ① IoT 통합관리플랫폼: IoT 서비스 제공을 위해 시스템 전반을 S/W 또는 H/W적으로 통합 관리하는 플랫폼(예: IoT 전반 기능 제어 응용앱,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 솔루션) ② 데이터 분석ㆍ처리 플랫폼: IoT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분석, 처리 기능을 주로 제공하는 분석 처리 플랫폼(예: 주로 빅데이터, 인공지능, 머신러닝, 학습 등을 활용하여 데이터 처리, 분석, 저장 기능을 하는 서버, 프로세서,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) ③ 연결성 관리 플랫폼: IoT 시스템을 이루는 장치간의 통신 네트워크 기능을 주로 관장하는 플랫폼(예: 게이트웨이 장치, 허브 장치) ④ 엣지 장치 관리 플랫폼: IoT 시스템의 현장 말단의 센서 구비 단말의 자원을 주로 유지 관리하는 기능을 가진 플랫폼(예: 말단 단말 디바이스의 연결 상태, 디바이스 모니터링, 디바이스 펌웨어 업데이트, 기기 등록, 기기 인식 장치) |
< IoT 플랫폼 유형별 주 관리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>
*** 그림 출처: 구글 검색 도면에 IoT 플랫폼 유형 영역 표시 부분 편집함
(https://www.ixon.cloud/knowledge-hub/10-criteria-to-select-the-best-industrial-iot-solution)
[붙임 2] | IoT 플랫폼 기술의 유형별 / 전체건 출원 동향 |
< 유형별 출원 동향 및 점유율 >
유형 | ‘13 | ‘14 | ‘15 | ‘16 | ‘17 | ‘18 | ‘19 | ‘20 | 계 | 점유율 |
통합 관리 플랫폼 | 12 | 13 | 18 | 30 | 34 | 36 | 32 | 38 | 213 | 46% |
데이터 분석ㆍ처리 플랫폼 | 5 | 6 | 8 | 15 | 22 | 35 | 29 | 63 | 183 | 40% |
연결성 관리 플랫폼 | 3 | 2 | 2 | 7 | 7 | 11 | 8 | 10 | 50 | 11% |
엣지 장치 관리 플랫폼 | 0 | 1 | 1 | 1 | 1 | 3 | 1 | 4 | 12 | 3% |
계 | 20 | 22 | 29 | 53 | 64 | 85 | 70 | 115 | 458 | 100% |
[붙임 3] | IoT 플랫폼 출원의 적용 서비스 산업별 출원 동향(‘13∼’20) |
< 적용 서비스 산업별 출원 동향 >
적용 서비스 분야 | 출원건수 | 점유율(%) |
헬스케어/의료/스포츠/레져 | 34 | 7% |
방재/방역 | 31 | 7% |
에너지 분야 | 28 | 6% |
수송/교통 | 26 | 6% |
스마트홈 | 22 | 5% |
소매/상거래 | 15 | 3% |
시티/건설/토목/상하수도 | 15 | 3% |
농업/축산/어업/어업/해양 | 14 | 3% |
기타(IoT 특정 서비스로 분류 곤란) | 273 | 60% |
[붙임 4] | IoT 플랫폼 출원의 연도별 출원인 동향 |
< 출원인 동향 및 점유율 >
유형 | ‘13 | ‘14 | ‘15 | ‘16 | ‘17 | ‘18 | ‘19 | ‘20 | 계 | 점유율(%) |
기업 | 19 | 5 | 21 | 28 | 39 | 49 | 44 | 81 | 286 | 63% |
대학 산학협력단 | 0 | 10 | 2 | 10 | 8 | 14 | 12 | 8 | 64 | 14% |
연구기관 | 0 | 4 | 3 | 10 | 10 | 8 | 8 | 4 | 47 | 10% |
개인 | 1 | 3 | 3 | 5 | 7 | 14 | 6 | 22 | 61 | 13% |
계 | 20 | 22 | 29 | 53 | 64 | 85 | 70 | 115 | 458 | 100% |
[붙임 5 | IoT 플랫폼 출원에 나타난 연결성 통신 방식 유형(‘13∼’20) |
< 유형별 동향 및 점유율 >
통신방식 유형 |
출원건수 |
점유율(%) | |
|
Wi-Fi |
38 |
23% | ||
블루투스 |
35 |
21% | ||
LoRa |
22 |
13% | ||
지그비 |
19 |
11% | ||
이더넷 |
18 |
11% | ||
4G LTE, 5G |
14 |
8% | ||
NB-IoT |
8 |
5% | ||
Ble |
5 |
3% | ||
LPWA |
4 |
2% | ||
Sigfox |
4 |
2% | ||
기타(z-wave) |
1 |
1% |
< IoT 센서 네트워크 통신 방식 성능 참고 >
[붙임 6] | IoT 플랫폼 출원의 인공지능/빅데이터/머신 러닝/딥 러닝/ 가상현실/블록체인 이용 동향((‘14∼’20) |
< 전체 건 추이>
| ‘14 | ‘15 | ‘16 | ‘17 | ‘18 | ‘19 | ‘20 |
전체 | 4 | 1 | 6 | 7 | 24 | 21 | 44 |
< 분야별 출원 동향>
| ‘14 | ‘15 | ‘16 | ‘17 | ‘18 | ‘19 | ‘20 |
인공지능 | 1 | 0 | 0 | 0 | 7 | 9 | 23 |
빅데이터 | 3 | 1 | 3 | 7 | 7 | 9 | 17 |
머신러닝/딥러닝 | 0 | 0 | 0 | 0 | 7 | 3 | 9 |
가상현실 | 1 | 0 | 1 | 0 | 0 | 0 | 2 |
블록체인 | 0 | 0 | 2 | 0 | 10 | 7 | 8 |